Motivating operations (MO)는 the value-altering effect 와 the behavior-altering effect로 정의할수 있다. The value-altering effect는 some stimulus, objects, or event 의 reinforcing effectiveness 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말하고, the behavior-altering effect는 reinforced by some stimulus, objects, or event로 현재 행동의 빈소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것을 말한다.
the discriminative stimulus is 특정한 반응이 강화 될 때의 자극이다. 특정 반응을 얻기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자극 유형이며 원하는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특정 응답을 얻기 위해 요구 또는 지시어입니다. 기본적으로 올바른 응답이 주어지면 보강이 가능합니다. SD의 예 : "Touch red"및 "Clean your room".
Motivating operations 과 discriminative stimulus은 유사점이 있다. 둘다 events occur before the behavior of interest and both events have evocative functions. 하지만, Motivating operations 은 우리가 더 많은 것을 원하게 만들고, discriminative stimulus 은 어떤 행동이 강화되거나 처벌되는지를 알려줍니다. Motivating operations은 결과를 위해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지만, establishing operations 행동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반면에 discriminative stimulus은 결과가 무엇인지 알기 때문에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 또는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직접적으로 알려줍니다.
Motivating operations 의 예로 광고가 있습니다. 치킨 광고를 보면 치킨이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치킨을 먹기 위해 치킨 가계로 가서 치킨을 사먹는 행동이 유발이 됩니다.
Motivating operations 의 또 다른 예는 Award ceremony 가 있습니다. 사람들 앞에서 Award를 받고 축하 받는 친구를 보면서, award를 받고 싶은 마음이 생깁니다. Award를 받기 위해 학생은 열심히 공부를 하게 되고, 결국엔 award를 받게 됩니다.
discriminative stimulus 예는 정지 신호가 있습니다. 우리가 정지 신호에 멈추어 서면 우리는 법을 준수함으로써 강화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을 지키지 않는다면, 우리는 티켓이라는 처벌 받게됩니다.
또한 discriminative stimulus은 school bell이 있습니다. 아침 8시 15분에 학교 벨이 울리기 전에 등교를 하는 아이들은 제시간에 등교로 강화가 되지만, 그 이후에 학교에 가는 아이들은 tardy report를 오피스에서 받게 됩니다.
'심리학, 행동분석 공부 노트.. 끄적거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ample of 3.1 DE (0) | 2018.09.30 |
---|---|
Trigger analysis 방아쇠 분석 (0) | 2018.09.30 |
group contingencies (0) | 2018.08.13 |
Contingency Contracting (0) | 2018.08.10 |
manipulation of antecedent /Antecedent Interventions/Antecedent control strategy (0) | 2018.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