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B에서는 자폐를 가진 아이에게 교육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다. 일반적인 학교 환경에서 일반적인 아이들은 선생님을 보거나 선생님의 가르침을 통해서 배우기도 하고, 또한 다른 아이들을 관찰함으로써도 배우기도 한다. 제일 처음 Sarah가 상자 앞에 서있는것을 관찰하고 아이들은 Sarah가 상자 앞에 서 있다는 것을 배웠고, Bobby 또한 Sarah를 통해 상자 뒤에 설수 있었고 다른 아이들도 Bobby를 통해서 상자 뒤가 어디에 있는지 관찰을 통해서 배울수 있었다. 집중하여 관찰하고 참여하는것은 학습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자폐아이인 Artie는 친구들이나 선생님의 가르침에는 관심이 없었고 참여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Artie는 아무것도 배울수가 없었습니다.
Lovaas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의 결과는 흥미롭습니다. 장애가 없는 아이들은 각 요소에 동일하게반응을 했지만, 자폐 아이들은 요소 중에 하나에만 반응을 했습니다. 3명은 청각 자극에, 2명은 적색 투광 조명이 있는 경우에만 막대를 눌렀습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자폐 아동에 대한 차별적인 자극 반응에 대해서 알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반복연습을 하면 기술 습득을 할수 있지만, 일대일 훈련에서 오랫동안 반복 연습을 한다고 해서 관련없는 부분에 참석을 하게 되면 기술습득에 쓸모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자폐증을 가진 어린이가 주어진 복합 자극 내에서 무의미한 요소에 집중하는 한, 가르치려는 개념은 결코 배울 수 없습니다. 아이마다 받아들이는 자극반응이 틀리므로 우리는 아이들의 그 차별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아이에게 접근해야 합니다. 무조건적으로 다른 아이들과 동일하게 가르친다면 아이는 몇달이 지나도 배우는것이 없이 발전되지 않을것입니다. 무엇을 가르치냐가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한 아이마다의 개별적인 교육 전략을 제대로 개발하는것이 자폐 아동에게 있어서 중요합니다.
'심리학, 행동분석 공부 노트.. 끄적거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ianc on scientific knowledge (0) | 2018.11.05 |
---|---|
errorless learning 착오없는 학습, 자폐 아동 (0) | 2018.10.28 |
example of 3.1 DE (0) | 2018.09.30 |
Trigger analysis 방아쇠 분석 (0) | 2018.09.30 |
MO(Motivating operations ) vs SD (discriminative stimulus) (0) | 201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