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지능에 문제가 있는 아이가 아니라면 자폐 아이들이 꽤 똑똑합니다. 

보통 사람들이 자폐라고 하면 영화 기봉이를 생각하는데, 그런 아이들도 있지만 절반 이상은 대화나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아이들은 반복적인 행동 학습을 통해서 배우는 수밖에 없는데, 그게 ABA 입니다.


32개월 아이입니다. 이 여자아이는 비발화 non verbal 아이이고 까치발 tiptoe 로 걷는 아이입니다.

발은 발앞부분에서 발 뒷까지 디딤을 해야지 잘 넘어지지 않는데, 이 아이는 까치발로 걷기 때문에 뛸때마다 넘어지고 다칩니다. 

그래서 제가 밖에서 놀때는 뛰지 말고 걸어야 된다고 가르쳤습니다.

아이가 뛸때마다 제가 뛰는 아이의 손을 잡거나 몸을 잡고  "No Running, Walking!!" (뛰지 말고 걸어) 라고 했습니다.

물론 아이가 tantrum(발작, 땅에 누워서 발로 차고 소리 지르고, 이것저것 던지는것) 합니다. 

아이가 tantrum(발작)을 하던 말던 일괄되게, "No Running, Walking!!" (뛰지 말고 걸어) 라고 계속 이야기 하고 "No way" (다른 건 안돼!!) 라고 합니다. 

또는 아이가 tantrum(발작)을 하다가 아이가 뛰려고 뛰쳐나갈때도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아이는 다시 잡고(Blocking) "No Running, Walking!!" (뛰지 말고 걸어) 라고 일관되게 이야기 합니다.

복잡하게 '니가 뛰어 다니면 넘어지고 다치니깐, 다치면 아프고, 엄마는 가슴이 아프잖아.... 등등등' 길게 이유를 설명하려고 해도 아이는 알아 듣는게 아니기 때문에 꼭 짦은 말로 해야할것만 단순히 지시하는게 좋습니다. 

아이의  tantrum(발작)이 스스로 멈출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그 사이에는 절대로 달래주지 않습니다. 

아이와 협상 deal 같은것도 절대 하지 않습니다. 

아이의  tantrum(발작)이 멈추고 저한테 와서 달래 달라고 요청을 하면 그때 달래주고 안아줍니다. 

그리고 밖에서 놀아될 시간이 다 되면 더 놀지 않고 집으로 갑니다.


반면에 아이가 놀이터에서 잘 걸을때도 있습니다. 아이가 잘 걸으면 그때 "Good! Walking" (잘 걷네) 로 칭찬도 해주는걸 잊으면 안되요. 


한 일주일 정도만 아이와 이런식으로 씨름을 합니다. 

이 아이 같은 경우는 일주일도 아니고 테라피 3일째에 아이는 뛰지 않고 걸어 다니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첫날은 30분 넘게 땅바닥에 누워서 울었고, 둘째날은 40분 정도 땅바닥에 누워서 울었습니다. 

뛰게 되면 tantrum(발작) 만 하게 되고 더 놀지 못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아이가 깨달은 것입니다.

그리고 중간중에 뛰려고 하면 제가 "No Running!" 이라고 하면 아이는 바로 뛰지 않고 걷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그럴떄는 꼭 "Good! Walking" 이라고 칭찬을 해주었습니다.


아마 한국은.. 엄마가 챙피해서라도 아이를 원하는대로 냅두거나 울면 다른 과자나 사탕 같은걸 주면서 달랠려고 할텐데요.

아이가 심하게 우는거는 정말 몇일 이지만, 아이가 원하는대로 해준다면, 엄마는 그 이후에 다른 문제 행동도 고치기 힘들어질수 있고, 또 그때 고치려면 정말 오랫동안 tantrum(발작)을 보셔야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릴때는 꼭 자폐가 아니라 일반 아이들도 tantrum(발작)을 심하게 할수 있습니다. 


일관성있는 태도가 아이에게 더 좋은 결과를 준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728x90
제일 처음 가르쳐 준 말은 베이비 수화로 "more" 였고, 그 다음은 "all done" ( 다 했어), 그 다음 베이비 수화는 "help", 다음은 "want" 의 순이었습니다.  이 4가지만 알아도 기본적인 욕구는 표현할수 있습니다.
아주 지능이나 뇌에 문제가 있지 않는 한,
아이는 말은 하지 못할지라도 수화는 따라 할수 있습니다.

테라피는 상황을 만들어서 아이가 말을 이끌어 내도록 하는게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more 같은 경우엔, 아이가 좋아 하는 노래나 과자 같은걸 줄 후, do you want more? 또는 간결하게 more?  더?라고 물어봅니다. 아이가 원하는 표현으로 소리를 지른다던지 그냥 가져가려고 표현을 하면 그냥 주지 말고 손으로 more에 해당하는 수화를 하면서, good job( 잘했어)라고 한 후에 주도록 합니다.

Help 같은 경우엔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위로 올려놓아 아이 손이 닿지 않게 한후 아이가 원하는 표현을 하면 help라는 수화를 사용하게 한 후good job( 잘했어)라고 한 후에 원하는걸 줍니다. 또는 날씨가 따뜻한 날 옷을 여러겹 입고 아침에 나왔는데, 날씨가 더울 경우에 아이가 옷을 벗고 싶어 하면 say "help"라고 하면서 수화를 하게 하고 good job 이라고 표현 한 후에 지퍼만 벗겨 줍니다. 여기서 팔을 빼는걸 또 못 할 경우에 아이가 하는걸 그냥 도와주지 않고 아이가 help라고 말하게 한 후( 수화라도) 도와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수화를 먼저 사용하면서 언어를 같이 하다보면 이 아이처럼 비발화였던 아이도 언어가 나올수 있습니다.

이 아이는 한 달 후에 스스로 help, more라는 말을 직접 할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728x90

31개월 자폐 아이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어린이집 같은 곳에서 하루종일 울고 소리지른다는게 선생님의 이야기였습니다.

말을 하지 않는 non verbal입니다


처음 2주 정도는 아이가 뭘 좋아하는지 탐색을 하고 이것저것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전혀 말을 하지 않는 아이인데다, 아이가 어려서 특별히 좋아하는 것도 찾기 힘들었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이 있으면 아이는 달라고 소리를 지르는 모습을 발견하고, 아이에게 아기 수화( baby sign language)를 하나씩 가르

치기 시작했습니다.

제일 먼저 가르친 수화는 “more” 였습니다. 한국말로 하면 “ 더” 입니다.  

More를 하려면 아이는 두손을 모아야 했는데, 아이는 센서리 이슈로 무조건 손에 뭔가를 잡고 있었기 때문에 아이 손에 있던 장난감을 강제로 빼서 두손을 모아 more를 한 후에 아이가 달라고 하는 장난감을 줬습니다.

아이는 제가 “say, more”(더 라고 해야지) 라고 쳐다보고 있으면 아이는 소라를 지르다가도 금세 포기하고 다른 장난감을 찾으려고 했습니다. 그 순간 아이의 손을 잡고 “more”를 시킨 후에 , 아이가 처음 원했던 장난감을 줬습니다. 물론 아이 손에 이미 있던 장난감을 빼려고 하면 아이가 소리를 지르지만, 소리를 지르는것을 개의치 않고 저는 일관되게 “more” 라는 sign language를 하게 한( physical prompt) 후에 원하는 장난감을 줬더니, 일주일이 지나자, 제가 아이 손에 있던 장난감을 빼고 more sign을 하려고 하니 아이가 손에 있던 장난감을 넣고 제 손을 따라서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또 일주일이 지나니 아이가 more sign을 스스로 하려고 하거나 아님 저에게 physical prompt 를 해달라고 손짓을 합니다.


그리고 한달이 지나니 아이가 스스로 more를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못하고 겉은 아이 있는데, 하나씩 가르치니깐 아이가 하나씩 잘 따라합니다. 

그런다더니 저랑 있을때는 아이의 소리 지르는 빈도가 줄어듭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