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제가 작년 6월달에 저희 아이 NAC먹인지 한달 후를 올렸는데요.
https://americanlifeinca.tistory.com/m/456

NAC와 자폐

한달전 즘부터 저희 아이에게 NAC를 먹이기 시작했어요. 지금 guanfacin 1mg(하루에 한번) 이랑 fluvoxamine 50mg(하루에 두번)을 먹이고 있는데 조금 aggression 이 줄긴했지만 여전히 있고 손가락 피부를 잡

americanlifeinca.tistory.com


저희 아이가 그렇게 살을 뜯던 행동이 NAC먹인 후에 정말 드라마틱하게 없어졌어요.
그리고 저 이전 포스팅에 여전히 남아 있던 상처의 흔적이 한 3달 지나니 완전 피부가 이뻐졌어요

이 사진은 지금 현재 손이랑 발바닥이에요.

이제는 피부는 전혀 뜯지 않아요. 본인도 안뜯어서 칭찬을 받으니 너무 좋아하는거 같아요.

그리고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화(aggression)이 많이 늘었거든요. 그래서 정신과에서 약을 처방받아서 먹었었어요. 아빌리파이부터 시작했는데, 혹시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보시구요. 
https://americanlifeinca.tistory.com/258

Abilify 어빌리파이 복용을 시작하다.

저희 아이는 아시다시피 고기능 자폐 판정을 받은 아이입니다. 지금까지는 ABA 하면서 어느정도 버텼는데요. 작년부터 아이가 생리도 시작하고 사춘기가 시작되면서부터 좀 달라졌어요. 작년 201

americanlifeinca.tistory.com

 
약을 복용 후에, 화(aggression)은 조금 줄긴했지만, 아이가 한번 화가 나면 눈물을 너무 많이 흘리고 그 상황에서 벗어서 극복하는것이 너무 힘들었어요. 심할때는 30분에서 1시간 정도 울기도 하고 또 저를 밀기도하고(민다기 보다는 저한테 안길려고 하는데, 제가 이럴때는 절대로 안 안아주다보니, 약간 미는것처럼 보이는 상황처럼 되요) 그래서 힘들었었는데요. 
아이는 자신의 화를 조절하거나 절제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데, 이게 자기는 조절 하고 싶은데 막상 그 상황이 되면 조절이 안되는거에요. 그러니깐 그렇게 화를 내고 난 후에는 엄마한테 미안하니깐 또 미안하다고 울게 되고, 화를 조절못한 자기 자신때문에 너무 속상한거에요. 그렇다보면 사춘기 자폐 아이는 우울증에 빠질수도 있게 됩니다.
그래서 저희 애는 플로복사민, 구안파신, NAC를 매일 먹고, 정말 화를 조절못하는 날에는 CBD oil까지 먹어요. 딱 NAC 때문이라고는 할수 없겠지만 아무래도 NAC까지 먹이면서 다른 약들과의 효과가 더 add 됐다고 볼수 있을거 같네요.

암튼 NAC까지 추가로 먹은 후에 화(aggression)을 절제하는 모습이 보이고, 이제는 말이 통하니 ABA로 아이에게 self regulation 하는 방법을 가르칠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몇가지 제가 아이에게 쓰는 aba 방법 중에서 일부인데요. 

아이의 aggression이 보일때,
what is your expected/or better behavior? 라고 물어보면
아이가 스스로 deep breath를 하면서 화를 컨트롤 하려고 하고,
스스로 저한테 밖에 나가서 산책을 하자고 물어봅니다.
제가 시간이 될때는 같이 나가서 5분 정도 걷고 오면 아이는 기분이 바로 좋아지구요. 제가 시간이 없을때는 스스로 화를 절제 하려고 노력해요.

또 제가 아이에게 항상 쓰는 다른 aba strategy가
think before you act!를 하는데,
아이의 bad behavior는 바로 토큰 차감으로 이어집니다. 아이가 스스로 화를 컨트롤 할때는 토큰이 add 되구요.
처음에 토큰이 차감되면 아주 심하게 화를 내지만 결국 이 상황을 인지하게 되면 아이가 화를 내더라도 빨리 스스로를 통제하게 됩니다.

엄마가 aba 전문가이니, 이런건 아이에게 좋은 영향인거 같네요. 😀
혹시 아이의 화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시겠다면, 꼭 따로 저한테 문의해주세요. ^^

암튼 이런 aba 치료방법도 어느 정도 아이가 준비가 되어야 가능하기때문에, 필요하다면 약을 먹이는것이 아이에게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을 하구요.  한국은 너무 일찍 이런 약을 아이에게 먹여서 그것 또한 문제이긴 한데, 꼭 필요한 사춘기 시기에 약을 제때 안먹여서, 이제 정말 아이에게 필요한 스킬을 가르쳐야할 시기를 넘기시지 말기를 추천드립니다. 정신과약인데 괜찮을까 걱정이 되어서 약을 시작을 못하신다면, 약을 제때 못 먹여서, 중요한 시기에 충동을 절제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하는 것도 생각해보셔야 될거에요. 그리고 약을 먹였으니 이제 우리 아이의 충동이 절제 되겠지... 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약은 충동성을 조금 줄여주는것일뿐, 바람직한 행동은 부모가 ABA로 가르쳐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약을 끊을때도 아이가 스스로 바람직한 행동을 할수 있게 되는거에요.

728x90
반응형
728x90
728x90

얼마전에 제가 부모 교육의 중요성이라는 내용으로 포스팅 을 하나 했었는데요.

https://americanlifeinca.tistory.com/251?category=754311

 

ABA 부모 교육의 중요성

이번에 새로운 아이를 만났어요. 이 아이는 30개월 남자 아이입니다. 몇번 저랑 같이 테라피를 했는데, 지금까지 제가 만나봤던 아이들 중에서는 가장 심했어요. 아이는 지시에 전혀 따르지 않는 아이였습니다. No..

americanlifeinca.tistory.com

 

ABA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일관성있게 밀고 나가는 거라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거기에 다른 변수는 플러스 마이너스 해서 더해져야 되겠지만요.

 

제가 저 포스팅할때만해도, 저 30개월 아이는 전혀 테라피를 따르지 않았습니다. No compliance at all.

그런데 일관성 있게, 아이가 화가 나서 자기를 자학 self injury를 하더라도, 아이의 요구가 있을때는 무조건 수화 sign language를 억지로 하게 했더니, 아이는 2주 만에 몰라보게 달라졌습니다.

그러므로..  화가 나서 자신을 때리거나 머리를 박는 아이에게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자학을 하는self injury가 있을때 엄마는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하고, 그 자학으로 인한 요구는 절대로 들어주지 말아야 합니다. 

- 아이가 자신의 머리를 박는다면, 아이의 머리를 손으로 막아서 벽이나 바닥에 박지 않아서 아이의 머리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게 우선 필요합니다. 그러면서 아이가 머리를 박을때는 그냥 "안돼" 라고 단호하게 한마디 말만 하시고, 아이의 요구는 절대로 들어주지 마세요.

- 아이가 자신의 자학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놀라는 말이나 눈빛같은 반응을 보여주시면 절대로 안됩니다.

- 정상적인 방법(말이나 수화나 그림같은걸로) 으로 공손하게 요청할때에만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셔야 합니다.

 

아이는 이제 자신의 요구가 있을때, 아이 스스로 자기 손을 테라피스트에게 내밀어요. (이건 보통 아이가 테라피스트에 의해 수화를 하도록 Prompt 했기 때문에 거기에 익숙해져서, 지금의 아이의 상태는 스스로 수화를 하는 방법은 몰라요. 그래서 자기 손을 테라피스트에게 내밀면서 수화를 하게 해달라고 하는 의미로) 그리고 테라피스트의 손에 의해서 수화를 한 후에 아이는 자기가 원하는 것을 받을수 있게 됩니다.

이제 다음 단계는 아이가 스스로 수화를 할수 있도록 물리적인 교정을 몇초간 기다려주거나 부분적인 교정으로 아이가 스스로 수화를 할수 있도록 합니다.  이게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말을 하도록 유도를 하는데요. 그건 길어서 다음에 하도록 하구요.

여기서 중요한것은 이 2주 동안 아이가 이제 어떤 무언가를 해야지 자신의 요구를 받을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제 조금씩 알게 됐다는거에요.

그런 변화를 직접 체험한 부모의 태도는 이제 180도 달라지게 됩니다. 테라피스트를 신뢰하게 되고, 적극 협조하는 모습으로 바뀌게 되는것을 볼수 있어요.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화를 내는 이유는 아이는 자신의 의사 소통 하는 방법을 지금까지 알지 못했고, 자기가 화를 내거나 울거나 아님 자학을 하게 되면 부모가 놀라면서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었기 때문에, 아이는 거기에 익숙해져서 그렇게 자신 만의 의사소통을 저렇게 하는거였어요.

아이의 요구가 있을때 부모는 특히 엄마는 직감적으로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가장 잘 아는 사람이에요. 아이가 울어서 요구를 들어주는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의사 소통을 한 후에 요구를 들어주게 훈련을 하는 것이 아직 말을 하지 못하는 자폐 아동이나 아님 이제 24개월 정도 즘 되는 아이에게 필요한 자세 입니다.

 

다음에 기본적인 의사 소통에는 무엇이 있을지 포스팅할게요.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